국내 최대의 송이 산지인 영덕군에서 「송이버섯 생태환경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는 송이에 대한 생태와 기상에 관한 실체를 규명했다. 송이가 가장 잘 서식할 수 있는 것은 17 °c 내외의 소나무 단순림인 것으로 확인됐다. 또한 송이는 8월에 0.7%, 9월에 38.6%. 10월에 48.1%, 11월에 12.7%가 자라는 것으로 조사됐다.

 송이가 가장 활발하게 서식하여 생산되는 가을 시기는 대부분 9월 초순경부터 10월 중순인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송이 생산일수는 연평균 28.1일로 적정한 온도, 습도가 조화를 이루어야 왕성하게 자랄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영덕군, 송이버섯 생태환경 실체 규명
▲ 영덕군, 송이버섯 생태환경 실체 규명

 이번 연구 결과는 국내 최초다. 영덕군은 송이를 생산하는 것과 함께 본격적인 연구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연구는 우리나라 송이의 기후 및 기상에 의한 서식조건과 생산량의 상관관계를 규명한 것이다. 앞으로 정부차원의 송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단순 생산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생산으로 나아가길 기대한다.

 송이생산지역의 연평균 기온은 10.8℃∼14.0℃ 범위였다. 강수량은 1000㎜∼1400㎜의 범위였다. 송이 수량과 연평균강수량, 연평균기온과의 관계는 일정한 함수관계가 성립된다. 최고기온 유효 온도범위는 18.5∼25.2℃, 꼭짓점 온도는 22.1℃로 나타났다. 평균기온 유효 온도범위는 14.8∼19.5℃, 꼭짓점 온도는 17.1℃로 나타났다. 송이가 가장 서식하기 좋은 온도가 17℃로 밝혀진 것이다. 최저기온 유효 온도범위는 9.2∼16.5℃로 꼭짓점 온도는 12.8℃ 로 나타났다.

▲ 영덕군, 송이버섯 생태환경 실체 규명
▲ 영덕군, 송이버섯 생태환경 실체 규명

 월별 강수와 기온은 송이생산량과 상관관계를 보인다. 6월 강수량이 많을수록 발생량도 증가했고, 6월 기온이 지나치게 높거나 낮으면 송이 발생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인다. 8월 강수량이 많고 기온이 높을수록 발생량은 증가했다. 9월의 강수 일수와 강수량의 영향은 중요했다. 이 두 요소는 송이의 생산량 증가에 큰 영향을 주었다.

 2009년의 경우처럼 9월 강수가 극단적으로 부족할 때는 대흉작이 되었다. 최저온도 19℃ 내외에서 송이 균사가 온도자극을 받아 원기(原基)를 형성했을 때, 최저온도가 재 상승하여 30℃를 넘으면 고온에 약한 균사는 사멸한다. 이런 경우 고온장해(高溫障害) 때문에 흉작이 되고 충해(蟲害)송이가 많이 발생하는 등 품질도 떨어지는 경향을 보인다.

 최근 송이 발생지역은 주로 낙동정맥과 백두대간 등이 주를 이룬다. 2000년~2005년의 송이 생산량을 도별로 비교해보면, 경상북도가 전국 생산량의 약 65%, 강원도가 약 27%를 차지해 90% 이상이 이 두 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2005년 전후까지 우리나라 송이 주산지로는 경상북도의 영덕, 울진, 봉화와 강원도 양양, 삼척 등을 꼽을 수 있었다. 그러나 2006년 이후에는 강원지역의 송이 생산량이 급감했다. 최근에는 경북의 영덕, 울진, 봉화, 청송, 포항지역으로 주산지가 축소되고 있다.

 송이의 발생지역은 점차 줄어드는 경향도 있다. 1970년대 초반에는 경기도(가평, 광주), 충청남도(예산), 전라남도(담양, 함평, 화순)에서도 송이 수매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지금은 이 지역에서는 송이 수매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생산규모에 따른 지역 순위는 해당 연도의 온도와 강수량 등에 따라 변화되고 있다. 강원지역의 생산량 급감은 산불 피해와 기후온난화 등의 영향요인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영남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