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 물 들다."

‘물’? 색깔의 순수 우리말이다. 마시는 물과 소리는 같지만, 그 뜻은 다르다. 그림을 그리면서 '물감'으로 하얀 종이를 채웠고, 아름답게 핀 뜰 안의 봉숭아 꽃닢으로 손톱에 '꽃물'을 들이고,  젊은이는 검은 머리를 화려하게, 연세가 지긋한 분은 흰머리를 검게 '물' 들이면서 자신을 가꾼다. 어쩌다가 ‘물’ 이 나쁜 느낌으로 쓰일 때도 있는데, 빨래하다가 흰옷에 얼룩이지면 다른 ‘물’이 들었다고, 순수하던 아이가 나쁜행동을 보일때면 ‘물’이 들어서라고 할 때는 오염의 뜻이기도 하다. 자신의 아이를 신뢰하는 부모님들이 어디서 ‘물'이라고 할 때는 본 바탕을 지켜주지 못한 아쉬움과 후회가 진하게 느끼며 하는 말일 것이다.

어려서 읽은 동화책에는 무지개 이야기가 자주 나오는데, 선녀가 무지개를 건너 내려오고, 착한 일을 많이 한 사람이 그 무지개를 타고 하늘로 올라간다는 이야기. 무지개는 비로 인한 빗물과 해로 인한 햇빛의 관계에서 생성되는 물, 즉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 것이라, 사람들 마음에서 무지개는 하늘과 땅을 이어주는 물의 다리와 같다. ‘물’과 ‘지게’라는 말 둘의 합으로 보면 무지개는 ‘여러 색깔이 있는 문' 이다. 하늘로 올라가는 아름다운 문이며, 하늘에서 내려올 사람을 만날 수 있을 길, 그래서 무지개가 뜨면 세상사람 누구나 환호성을 지른다.

봄이면 새로 돋는 풀과 꽃들에 땅이 '물'들고, 여름이면 왕성한 푸르름에 산과 들이 '물'들며, 가을이면 높고 맑은 하늘빛 아래 단풍이 '물'들고, 겨울이면 내리는 눈에 온세상이 희게 '물' 든다. 해가 솟아오르면 바다가 '물'들며, 해질녘엔 하늘이 붉게 '물'든다. 이땅에서 나고 자란 우리는 우리말에 '물'들어 지낸다. 어머니의 태중에서부터 들어 온 참 곱고 아름다운 말이다. 지금 세상을 살아가는 우리는 좋은 벗과 이웃들의 올바른 말과 행동에 '물'들고 또 '물' 들이면서 살아야 할 것이다.

 
윤장원 박사
윤장원 박사

 

 

 

 

 

 

 

 

♦윤장원♦

호는 유천(裕泉), 박사, 시인, 수필가, 한시시인

전)FAO-CGIAR-ICRISAT 국제작물연구소, 수석연구원

현) BENGUET STATE UNIVERSITY,
Lifetime Achievement Professor (종신석좌교수)

현)농사협(RSDC), 농촌개발본부장

현)정부 공적원조(ODA) 전문가 개발도상국가에서 활동 중

 

 

 

 
저작권자 © 영남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